[Session 02] 키와 몸무게로 비만도 측정하기
키와 몸무게로 비만도 측정하기
학습 목표
개인이 수집한 데이터를 분석하는 프로젝트를 만들 수 있다.
문제 해결 상황
직접 수집한 친구들의 키와 몸무게를 차트를 통해 확인하고 싶어요. 키와 몸무게 데이터를 이용해서 체질량지수를 구해 차트로 나타내고, 비만도 판정 결과를 알아보고 싶어요.
문제 해결 방법
엔트리에서 제공하는 월평균 미세먼지 농도 데이터와 월평균 기온 데이터를 이용해서 서울, 부산, 제주 지역의 데이터를 차트로 나타내고 지역별 평균값을 비교한다. 날씨 확장 블록의 현재 미세먼지 농도와 기온을 이용해서 창문과 에어컨의 설정을 결정한다.
2-1 데이터 수집하기
주변 친구 또는 학생들의 키와 몸무게를 수집해보자.
개인 데이터를 수집하는 한 가지 방법은 직접 대면해서 설문하는 것이다. 키와 몸무게 설문 워크시트를 가지고 다니면서 친구 또는 학생에게 설문에 필요한 질문을 하고 답변을 적는다. 설문을 통해 얻은 결과는 테이블 추가하기의 ‘새로 만들기’를 통해 직접 입력해서 활용하면 된다.
데이터를 수집하는 또 다른 방법은 네이버 오피스 폼 또는 구글 설문 등을 이용해서 온라인으로 설문하는 것이다. 설문을 통해 얻은 csv 또는 xls(x) 형식의 파일은 테이블 추가하기의 ‘파일 올리기’를 통해 올려 활용 하면 된다.
|
|
▲ 네이버 오피스 폼 설문지 |
▲ 구글 설문지 |
2-2 테이블과 차트 만들기
수집한 키와 몸무게 데이터를 테이블과 차트로 나타내고, 이 데이터를 이용해서 구한 체질량지수와 비만도 판정 결과를 저장할 테이블과 차트를 만들어보자.
|
1) ‘데이터분석’ 카테고리를 클릭한 후 ‘데이터 불러오기’ 버튼을 누른다. |
2) '테이블 추가하기' 버튼을 누른 후 '새로 만들기' 버튼을 누른다.
3) ‘추가’ 버튼을 누르면 빈 테이블이 생성된다.
4) 테이블의 칸에 마우스 왼쪽 버튼을 누르면 데이터 입력이 가능한데, 첫 번째 행에 이름, 키, 몸무게라는 열 제목을 입력한다.
5) 두 번째 행부터 수집한 데이터를 입력한다.
|
6) 키와 몸무게 데이터를 차트로 표현해 보자, ‘차트’ 버튼을 누른 후 ‘+’ 버튼을 눌러 ‘막대’를 선택한다. |
|
7) 가로축에서 ‘이름’을 선택하고, 계열에서 ‘모두’를 선택한다. 그리고 차트 이름을 ‘키와 몸무게 차트’로 변경하고 ‘저장하기’ 버튼을 누른다. |
8) 차트를 보고 알게 된 정보를 적어보자.
체질량지수와 비만도 판정 결과를 저장할 테이블과 차트를 만들어보자.
|
9) ‘테이블 추가하기’ 버튼을 누른 후 ‘새로 만들기’ 버튼을 누른다. ‘추가’ 버튼을 눌러 생성된 빈 테이블의 첫 번째 행에 이름, 체질량지수, 판정을 입력한다. 테이블 제목을 ‘결과테이블’로 변경한다. |
10) ‘저장하기’ 버튼을 눌러 테이블을 저장한 후 ‘차트’ 버튼을 눌러 ‘막대’를 선택한다. 가로축에서 ‘이름’을 선택하고, 계열에서 ‘체질량지수’를 선택한다. 그리고 차트 이름을 ‘체질량지수 차트’로 변경하고 ‘저장하기’ 버튼을 누른다. 저장된 데이터가 없으므로 빈 차트가 생성된다.
11) 오른쪽 위에 위치한 ‘저장하기’ 버튼을 누르고 화면 왼쪽 위에 위치한 ‘×’ 버튼을 눌러 테이블 불어오기 창을 닫는다.
2-3 엔트리 프로그래밍
키와 몸무게 데이터를 차트로 보여주고 체질량지수와 비만도 판정 결과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어보자.
|
1) 장면 1에서 ‘교실’과 ‘(3)엔트리봇’ 오브젝트를 불러와서 적당한 위치로 배치한다. |
2) 장면 2에서 ‘교실 뒤(2)’와 ‘컴퓨터하는 엔트리봇’ 오브젝트를 불러와서 다음과 같이 배치한다. |
|
3) 장면 1의 (3)엔트리봇에서 시작하기 버튼을 클릭하면 ‘키몸무게 차트’를 열었다가 닫은 후 ‘장면 2’가 시작되도록 한다. |
4) 장면 2에서 ‘키몸무게 테이블’의 키와 몸무게 데이터를 이용해서 체질량지수를 계산하고 비만도를 판정하도록 구현해보자. ‘키몸무게 테이블’의 임의의 학생에 대한 키와 몸무게 정보를 이용해서 체질량지수를 구하는 ‘체질량지수 구하기’ 함수를 정의한다. 이 함수는 테이블의 행 번호를 전달받아 ‘문자/숫자값 1’에 저장하여 수행하고 계산된 체질량지수는 ‘체질량지수’ 변수에 저장한다. 체질량지수를 구하는 식은 다음과 같은데, 몸무게 단위는 kg이고 키 단위는 m이다.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키 단위가 cm이므로 프로그램에서 m 단위로 변환해야 한다.
|
5) 체질량지수를 이용해서 비만도를 판정하는 ‘비만도 판정하기’ 함수를 정의한다. 전달 받은 체질량지수를 저장한 ‘문자/숫자값 1’을 이용해서 비만도를 판정하는데, 판정 결과는 ‘판정’ 변수에 저장한다. 체질량지수에 따른 비만도 판정은 다음과 같다. |
|
6) ‘체질량지수 구하기’ 함수를 호출하여 체질량지수를 구하는데 이때 ‘위치’ 변수 값을 전달한다. ‘위치’ 변수에는 체질량지수를 구할 학생 정보가 있는 테이블의 행 위치가 저장되는데, 첫 번째 학생의 정보는 테이블의 두 번째 행에 위치하므로 ‘위치’ 변수의 초기 값을 2로 한다. 그리고 ‘비만도 판정하기’ 함수를 호출하여 비만도를 판정하는데 ‘체질량지수’ 변수 값을 전달한다. 구한 체질량지수와 판정 결과를 말한다.
7) 구한 체질량지수와 판정을 이름과 함께 ‘결과테이블’에 저장한다. 프로그램을 통해 테이블에 데이터를 추가할 수 있는데, 데이터를 추가할 행을 먼저 생성한 후, 해당 셀 값을 변경해야 한다.
8) 모든 학생들에 대한 처리가 끝나면 '체질량지수 차트'를 5초동안 열었다가 닫는다.
9) 완성한 프로젝트를 실행시켜 결과를 확인해보고 알게 된 정보를 적어보자.
직접 수집한 데이터를 분석하는 방법을 살펴보았다. 직접 수집한 데이터를 분석하는 새로운 프로젝트를 제작하고 공유하는 시간을 가져보자.